'5년 후 만기 시 최대 약 5000만 원 지급/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면 가입 가능해요!'
고물가 시대에 힘든 청년들을 위한 정부정책인 청년도약계좌가 올해 6월부터 신청을 시작합니다.
23년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정책이며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는 청년들이면 신청 가능하며 월 40만 원에서 70만 원을 매월 납입해 정부 지원금과 이자를 합산해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드는 적금인데 가입조건과 소득별로 얼마나 납입해야 하는지 하나씩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청년도약계좌란?(월 납입금, 이자율)
- 가입조건(나이, 소득)
-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란?(월 납입금, 이자율)
청년 자산 형성 지원 정책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는 희망적금과는 다른 사업으로 소득별로 정해진 금액을 5년간 납입하는 저축상품입니다.
연 소득을 기준으로 납입금과 정부 지원금을 포함해 금리 6%를 적용하며 이자소득의 15.4%비과세 및 복리로 이자가 적용되며 차액은 정부에서 지원하여 5천만 원을 맞춰 지급 예정이며 소득 구간별 월 납입금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 표를 살펴 보시게되면 소득이 낮을수록 고정적으로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액과 저축비례 정부기여한도 높게 적용되어 소득이 적은 사회초년생 분들에게 혜택을 더 드리고자 만들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 상품의 소득에 따라 납입금이 달라지기에 중위소득에 따라 가입이 제한될 수 있으며 나이 제한이 있으므로 해당 여부를 꼭 확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가입조건(나이, 소득)
만 19세부터 34세까지 가입 가능하며 남자분들의 경우 병역기간까지 가산되어 적용되므로 복무한 기간을 합산하여 적용하므로 개개인마다 상이하게 차이가 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소득이 없는 분들은 가입하실 수 없으며 22년 기준으로 연 소득 세전 6천만 원 이하면 가입가능하며 가구별 중위소득의 경우 180% 이하면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 출시한 정부 지원 상품과 비교했을 때 본인의 소득을 제외한 가족 소득까지 합산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가입하실 것으로 보고 있으며 중위 소득 관련해서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3년 기준 중위소득(단위 : 원)
신청기간
올해 6월부터 2025년 12월 31까지 만 19~34세 청년분들 중 개인 소득과 기준 중위소득 커트라인에 해당하시는 분들이라면 신청 가능하시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몰릴 것으로 보고 있어 더 자세한 가이드라인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는데 아마 누리집이나 정부 24를 통한 자체 홈페이지가 개설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최근 고물가에 힘들어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으신데 다양한 정부 지원 사업이 출시되어 많은 분들에게 혜택이 돌아갔으면 하며 이번 정책을 비롯하여 도움 되는 정부 정책이나 팁들에 대해 바로 소개해 드릴 예정이니 이 점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여러가지 정보와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신청방법 기간 재충전은?(2023년) (0) | 2023.02.09 |
---|---|
에어서울 사이다특가 일본 동남아 최대 98% 할인받는 방법은? (0) | 2023.02.02 |
알뜰폰 요금제 비교 5G 더 저렴한 곳은?(LG, KT, SK) (0) | 2023.01.20 |
2023 공익직불금 신청 대상자 방법 일정 알기 쉽게 정리(기본형) (0) | 2023.01.18 |
2023 설 특선영화 날짜별 총 정리(1월 21~24일) (5) | 2023.01.17 |
댓글